인기 있는 메시징 플랫폼인 텔레그램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하여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P2P (peer-to-peer) 로그인’이라고 불리는 이 기능은,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일회용 비밀번호(OTP)를 전송하는 대가로 무료 프리미엄 멤버십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이다.
처음에 텔레그램 채널에서 관찰되고 AssembleDebug on X를 통해 전파된 이 기능은 일부 지역의 안드로이드 사용자에게 점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What could go wrong ?
Source
• https://t.co/xgEtXj5qq5
• https://t.co/TkSI0VJcxB
Users in some countries are receiving this feature and the only good thing about it is that it's opt-in. #telegram pic.twitter.com/R1ptjGLJp7— AssembleDebug (Shiv) (@AssembleDebug) March 24, 2024
자신의 번호를 OTP 릴레이로 텔레그램에 동의하는 사용자에게는 텔레그램 프리미엄 코드가 지급된다. 하지만, 서비스 이용 약관에 따라, 월 150개의 OTP 메시지 한도가 정해져 있다.
이 혜택은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잠재적인 단점도 있다. 사용자들은 국내 및 국제 SMS 사용에 대한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무료 구독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은 텔레그램 프리미엄 멤버십의 가치보다 더 많은 비용을 휴대폰 요금으로 지불하게 될 수 있다.
프라이버시가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기능은 모르는 사람이 사용자의 번호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스팸과 사기 행위에 대한 길을 열어준다. 텔레그램은 낯선 연락처로부터 전화번호를 숨길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지만, 자신의 번호를 중계로 사용하면 텔레그램 계정이 노출될 수 있다.
텔레그램의 “P2P 로그인”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서비스 약관은 텔레그램의 책임을 면제하고, P2P 로그인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청구에 대해 회사가 절대적인 면책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번호로 OTP 코드를 받은 개인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도록 주의를 받고 있지만, 이를 강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부족하다.
P2P 로그인 시스템을 선택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낯선 사람에게 공개하는 것과 잠재적인 비용 절감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해야 한다.
무료 프리미엄 멤버십이 매력적일 수 있지만, 사용자들은 텔레그램의 “P2P 로그인” 프로그램을 수용하기 전에 프라이버시 위험과 금전적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